당신을 위한 용어사전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명령문의 모임컴퓨터의 물리적 장치인 하드웨어(Hardware)만 존재해서는 컴퓨터가 작동하지 않습니다.추가로 컴퓨터에게 직접 어떤 일을 해야하는지 알려줄 명령문이 필요합니다.이 명령문은 단순한 사칙연산부터 시작하여 수만 줄이 넘는 긴 형태가 될 수도 있습니다.우리는 이 명령문의 모임을 소프트웨어(Software)라고 부릅니다.윈도우나 워드, 엑셀, 게임, 음악 플레이어등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소프트웨어는 수없이 많습니다...
컴퓨터의 모든 물리적 부품을 일컫는 말컴퓨터가 작업을 수행하려면 크게 하드웨어(Hardware)와 소프트웨어(Software)가 필요합니다.하드웨어는 컴퓨터의 물리적 장치라고 말할 수 있으며소프트웨어는 이를 통해 작업을 할 명령문의 모임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보통 하드웨어라고 말하면 본체 안에 들어있는 부품을 이야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하지만 넓은 의미에서 하드웨어는 컴퓨터를 구성하는 모든 기계적 장치를 뜻합니다.위 그림에 있는..
인간보다 월등히 빠른 속도로 계산을 수행하다컴퓨터라는 단어는 '계산하다'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인 'Computare'에서 유래되었습니다.초기의 컴퓨터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치 계산을 할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그러나 현재의 컴퓨터는 단순 계산 이상의 일들을 할 수 있습니다.동영상 재생, 게임, 사진 보정, 문서 작성 등 우리가 평소에 익숙하게 해왔던 일들이 바로 그것입니다.하지만 우리가 컴퓨터로 하는 모든 작업들은 근본적으..
16개의 기호로 숫자를 표현하다※ 이 글을 읽기 전에 비트와 2진법에 대한 설명을 먼저 보시면 이해가 더 쉽습니다.16진법은 수를 기호로 나타내는 기수법(記數法, numeral system)의 한 가지로 16개의 '기호'를 이용하여 수를 표현합니다. 또한 자리값이 올라갈때마다 수가 16배씩 커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다른 기수법과 동일하게 16진법으로 나타낸 수를 16진수라고 부릅니다.위에서 16개의 기호라..
0과 1로 모든 수를 표현하다수를 기호로 나타내는 방법을 기수법(記數法, numeral system)이라고 합니다.우리가 수를 표현할 때에는 대부분 10진법을 사용합니다.10진법이란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이용해서 수를 표현하는 방법이며 자리값이 올라갈때마다 수가 10배씩 커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렇게 10진법으로 나타낸 수를 10진수라고 부릅니다.10진법은 위치에 따라 수의 크기가 달라지는 위치적 기수법에 속합..
4개의 비트로 이루어진 정보의 단위니블(nibble)은 4개의 비트(bit)로 이루어진 정보의 한 단위입니다.한 개의 비트가 0과 1의 두 가지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비트가 4개가 모인 니블은 2^4인 16가지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4개의 비트가 모여 한 개의 니블을 이룹니다.1니블이 나타낼 수 있는 상태를 2진수로 해석하면 0(0000)부터 15(1111)까지의 숫자 표현이 가능합니다.한 개의 니블이 표현 가능한 범위..
8개의 비트로 이루어진 정보의 단위바이트(byte)는 8개의 비트(bit)로 이루어진 정보의 한 단위입니다.6개의 비트나 9개의 비트로 이루어진 것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바이트는 8개의 비트로 구성됩니다.8개의 비트가 모여 한 개의 바이트를 이룹니다.비트 한 개당 0과 1의 두 가지 상태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바이트는 2^8인 256가지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01110010과 같은 식입니다.바이트가 나타내는 수..
0과 1로 이루어진 정보의 최소 단위비트(bit, binary digit)는 컴퓨터에서 정보를 나타내는 가장 작은 단위입니다.binary는 2진을 뜻하며 digit는 숫자 하나를 의미합니다. bit는 이 두 단어가 결합된 말입니다.10진법은 0부터 9까지 10개의 숫자를 이용하여 수를 나타내는 방법입니다.반면에 2진법은 0과 1의 숫자만 사용해서 수를 나타냅니다. 이렇게 표현된 숫자가 2진수입니다.컴퓨터의 정보 단위가 bi..